본문 바로가기
세상다반사

미 대선의 투표방식은 어떤것들이 있을까?

by 쇼비즘 2008. 11. 4.
반응형

제가 처음 선거를 한것은 군대에서였습니다. 선거에 관심없었고 정치에 관심없었던 시절이었지만
군대에서는  외출할수 있다는 야릇함(?)으로 인해 선거버스를 타고 시내로 나가 선거를 하고 왔습니다

그때는 볼펜 반 짜른듯한 도구를 찐덕거리는 인주를 묻혀서 찍는 방식이었는데
작년 올해 대선,총선을 하면서 선거를 해보니 좀 변했더군요. 먼저  인주대신에 깔끔해보이는 스템프가 있는것 같더군요.
그리고 엄청 빠른 검표기가  빨간 동그라미가 칠해진 곳을 인식해서  검표를 합니다.

그런데 미 대선은 어떤 방식일까요?
지금 미국은 선거중입니다.  미국은 넓디 넓은 나라이다 보니  수많은 방식의 투표방식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5가지의 투표방식이 있습니다.




1. 광학스캔

이 방식은 우리방식과 비슷합니다. 투표용지에 펜으로 체크한다음  광학스캔을 할수 있는 검표기가
체크한 후보를 인식하는것이죠. 이 방식은 미국 SAT시험에서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반사가 되는 번들거리는 잉크로 체크하면 기계가 미인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우리같이 인주로 콕찍어서 하는게
더 좋을것 같은데요. 이 방식이 좋은점은  투표후에 재검표가 쉽게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이 방식이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2. 터치스크린 방식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선보이지 않는 방식인 터치스크린 투표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말그대로  투표장에 가서 터치스크린을 톡톡 건드려서  투표를 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투표와 동시에 검표가 되기에 무척빠른 선거결과를 알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 방식이 두번 클릭하게 되면 두명이 투표하게 되는등 수많은 오작동사례가 있다고 합니다.
쉬운많큼 헛점도 많네요. 또한 간단하게 칩하나 바꾸면 투표를 조작할수 있는 보안성이 많이 덜어져
점점 이 투표방식의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 방식을 곧 선보인다고
하는데 보안문제에 대한 충분한 대책후에 실시했으면 합니다.




3. 레버식 투표기계

이 기계는 우리에겐 너무나 낯선 풍경인데요.  레버를 돌려서 선거를 하는 기계식 선거방식입니다.
투표방법은 간단한데요. 자식이 찍고 싶은 후보옆에 있는 레버를 90도로 꺽어주면 됩니다.
그런데 너무 구식으로 보이네요.   그러나 이 방식을 사용하는 곳이 아직도 있구 몇몇 뉴욕지역에서는
아직도 이방식을 쓰고 있다고 합니다. 검표도 상당히 느려서 이 레버식투표기계를 사용한 선거구가 항상
늦게 검표를 마칩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잘못된 레버작동으로 인해 많은사람들이 잘못 투표하는 오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 CNN뉴스 제일 처음에 나오는 방식이 레버방식입니다.




4. 펀칭카드

이 방식은 학교다닐때 OMR카드방식과 비슷한데 이 방식은 더 구식입니다.
먼저 자신이 선택한 후보에 표시를 한다음  천천히 다시한번 더 들여봅니다. 그리고  표시한 곳을 펀칭기로 뚫어야 합니다.
그리고 제대로 뚤어야 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 방식은 2천년 부시와 엘고어의 대선때 플로리다에서 이런 방식으로
했던곳이 있는데  불과 3백표차로 플로리다표를 부시가 가져감으로써  유권자선거에서는 엘고어가 이기고도
승자독신의 방식때문에 부시가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이 방식은 이제 거의 사라졌습니다.






5. 용지투표

이 방식은 작은동네나 부재자투표를 할때 우리도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이 원조이긴한데 검표에 시간이
걸려 지금 이런 방식으로 하는 곳은 거의 없습니다.




한국시간으로 내일 정오쯤에 새로운 대통령이 탄생할듯 합니다.  아무 불상사없이 투표가 끝났으면 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