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습니다.1 영어공교육보다 시급한 이명박대통령 한글맞춤법 배우면 배울수록 어려운게 한글이다. 특히 한글 맞춤법은 대학교육을 받고 나온 사람도 자주 틀리는 부분이다. 어렸을땐 깨끗이가 맞는지 깨끗히가 맞는지 가지고 헤깔렸을때도 많았다. 돼가 맞는지 되가 많지도 참 많이 틀리는 부분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대부분 읍니다와 습니다를 틀리지 않는다. 왜냐하면 하루에도 수십번 만나게 되는게 이 습니다라는 동작이나 상태를 있는 그대로 나타내는 종결 어미 이기 때문이다. 초등학교때 읍니다로 배우고 자랐지만 고등학교때인가 80년대 말쯤 읍니다에서 발음에 더 가까운 습니다로 고친 기억이 난다. 그때 말도 참 많았다. 왜 습니다로 바뀌냐하면서 비판도 있었구 하지만 사람들은 읍니다에서 습니다로 바꾸는것에 쉽게 적응했다. 솔직히 읍니다라고 발음하지 않기 때문이다. 발음에 더 가까운 .. 2008. 2. 25. 이전 1 다음 반응형